2022. 9. 2. 21:51ㆍ카테고리 없음
~~~지난 시간~~~
리소스
스트림
리소스의 분류와 그 기준
리소스를 세 가지로 분류했음
리소스가 어디에 위치했는가
해당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
file system resource
물리주소
리소스를 관리하는 것은 os
웹상의 퍼블리싱 된 리소스
classloader의 역할
여러 개의 classpath가 존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안에서 여러 개가 동작할 수 있음
class 예?
stream
단방향의 통로를 가짐
해당 스트림은 읽기 혹은 쓰기만 가능.
크기에 따라 byte/character stream으로 분류
오늘의 수업 ***********request**************
데이터는 0과 1의 집합
이를 묶어서 보내는 것이 패킷
나중에 시간 나면 channel 검색해서 보라고 하셧음
member/memberInsert.do 라고 URI를 쓰면 resource 뿐만 아니라 행위가 포함되므로 '자원'만 표기하는 방법으로는 'member'만 남게 됨
행동에 대한 정보는 method로 표현하자는 것이 REST방식
프로토콜에도 버전이 있음
엣지와 크롬은 동작하는 방식이 같아서 userAgent에 같은 내용이 뜨지만 safari에는 safari만, chrome에는 safari와 chrome, Edge에는 safari, chrome,Edg가 모두 뜨기 때문에 다른 것들을 모두 분류한 후에 Edge>chrome>safari순으로 걸러야 함
수업 끝나고 보니 코드 쓰는 것 따라가다가 장렬하게 망한 필기 뿐... 코드라도 정리하자... 근데 하도 여러 방법들을 하다보니 뭘 어떻게 정리할지 아직 감이 안 온다. 나의 머리,,, 하드웨어가 좋지 않은데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어떻게 안 되나요...ㅜ